최근 NLP 분야 공부 또는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HuggingFace를 사용해봤거나 들어봤을 것이다. BERT부터 GPT까지 웬만한 NLP 분야 논문에 나온 모델을 하나의 API로 밑으로 구현해놓은 것이다. 대단한 사람들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이 HuggingFace 사용방법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
Introduction to HuggingFace
사실 내가 생각했을 때 HuggingFace에서 알아야될 Class는 네 가지다:
- AutoConfig
- AutoTokenizer
- AutoModel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 등등)
- TrainingArgs and Trainer
이 네 가지 클래스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면 아주 쉽게 fine-tuning, pre-training 다 가능하다. 물론 좀 더 customize를 하고 싶다면 모델을 뜯어 고치거나 trainer을 뜯어서 고쳐야겠지만 이 네 개의 클라스를 통해서 파라미터 조정하다. 그리고 사실 파라미터 조정, 학습 방법 수정을 통해서 더 좋은 성능을 가질 수도 있겠지만, 논문에서 제시한 파라미터가 주로 가장 적합한 경우가 제일 많다. 어쨋든 위에 있는 클래스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AutoConfig
AutoConfig는 말 그대로 모델의 기본적인 설정을 불러오는 클래스다. 사실 pre-trained 모델을 그대로 가지고 오고 싶으면 따로 Config를 설정해줄 필요가 없다.
Config가 필요한 경우: (1) 기본 Pre-Trained Model의 특정 파라미터 조정 원할 때 (2) Custom Model 설정을 그대로 가지고 오고 싶을 때
(1)과 같은 경우라면 kwargs로 AutoConfig.pretrained()
에 모델 이름과 함께 조정하고 싶은 값을 패싱해주면 되고 (2) 같은 경우라면 전에 학습한 체크포인트에서 config 를 path로 불러오면 된다.
아래 예시로는 XLM-R 모델을 불러왔다.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Config
# Set Keyword Args
config_args = {'hidden_dropout_prob':0.2,
'num_labels':2}
# Or.. load from path
config_path = './model/checkpoint.ckpt.index'
# Set Model Name
model_name = 'xlm-roberta-base'
# Get Configuration
config = AutoConfig.from_pretrained(model_name, **config_args)
print(config)
>> XLMRobertaConfig {
"architectures": [
"XLMRobertaForMaskedLM"
],
"attention_probs_dropout_prob": 0.1,
"bos_token_id": 0,
"eos_token_id": 2,
"gradient_checkpointing": false,
"hidden_act": "gelu",
"hidden_dropout_prob": 0.2,
"hidden_size": 768,
"initializer_range": 0.02,
"intermediate_size": 3072,
"layer_norm_eps": 1e-05,
"max_position_embeddings": 514,
"model_type": "xlm-roberta",
"num_attention_heads": 12,
"num_hidden_layers": 12,
"output_past": true,
"pad_token_id": 1,
"position_embedding_type": "absolute",
"transformers_version": "4.4.2",
"type_vocab_size": 1,
"use_cache": true,
"vocab_size": 250002
}
AutoTokenizer
Tokenizer은 자연어를 실수값으로 변환해줄 때 필요한 것이다. 모델마다 사용하는 Tokenizer의 유형, 세부 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모델에 따라서 맞는 Tokenizer을 불러와야 한다.
Tokenizer을 직접 트레이닝한 게 아니라면 사실 설정값을 딱히 바꿀 필요가 없다. AutoConfig
와 똑같이 모델 이름을 넣어주면 자동으로 그 Tokenizer을 불러오기 때문에 사용하기 굉장히 쉽다.
아래와 같이 아까 설정한 config를 Tokenizer에도 패싱을 해줄 수 있는데, 사실 우리는 아까 Tokenizer에 관련된 kwargs를 아예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바뀌는 게 없다. Tokenizer을 한 번 프린트 해보면 어떤 config 값을 설정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만약에 바꿀 게 있다면 아마 model_max_len
이거 하나일 것 같다.
tokenizer = AutoTokenizer.from_pretrained(pretrained_model_name_or_path=model_name, config=config)
print(tokenizer)
>> PreTrainedTokenizerFast(name_or_path='xlm-roberta-base', vocab_size=250002, model_max_len=512, is_fast=True, padding_side='right', special_tokens={'bos_token': '<s>', 'eos_token': '</s>', 'unk_token': '<unk>', 'sep_token': '</s>', 'pad_token': '<pad>', 'cls_token': '<s>', 'mask_token': AddedToken("<mask>", rstrip=False, lstrip=True, single_word=False, normalized=False)})
print(tokenizer.tokenize('그 영화는 재밌었다'))
>> ['▁그', '▁영화', '는', '▁재', '밌', '었다']
print(tokenizer('그 영화는 재밌었다'))
>> {'input_ids': [0, 2625, 29549, 769, 11105, 249902, 23548, 2], 'attention_mask': [1, 1, 1, 1, 1, 1, 1, 1]}
print(tokenizer(['그 영화는 재밌었다','나는 별로였다']))
>> {'input_ids': [[0, 2625, 29549, 769, 11105, 249902, 23548, 2], [0, 37231, 6, 109777, 43680, 2]], 'attention_mask': [[1, 1, 1, 1, 1, 1, 1, 1], [1, 1, 1, 1, 1, 1]]}
AutoModel
모델 Config와 Tokenizer을 불러왔으니까 이제 가장 중요한 모델을 불러올 차례이다.
다른 클래스와 똑같이 AutoClass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굉장히 쉽다. 모델 이름과 미리 설정해놓은 AutoConfig object만 있으면 나만의 모델 생성하기 끝!
# Loading model from configuration
model_config = AutoModel.from_config(config)
# Loading model pre-trained model without chaning configurations
model_pretrained = AutoModel.from_pretrained(model_name)
이렇게 Config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그냥 모델 이름만 패싱을 해주면 기본적인 Config로 설정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모델을 프린트해보면 그 차이를 볼 수 있다:
print(model_config)
>>> XLMRobertaModel(
(embeddings): RobertaEmbeddings(
(word_embeddings): Embedding(250002, 768, padding_idx=1)
(position_embeddings): Embedding(514, 768, padding_idx=1)
(token_type_embeddings): Embedding(1, 768)
(LayerNorm): LayerNorm((768,), eps=1e-05, elementwise_affine=True)
(dropout): Dropout(p=0.2, inplace=False)
)...
print(model_pretrained)
>>> XLMRobertaModel(
(embeddings): RobertaEmbeddings(
(word_embeddings): Embedding(250002, 768, padding_idx=1)
(position_embeddings): Embedding(514, 768, padding_idx=1)
(token_type_embeddings): Embedding(1, 768)
(LayerNorm): LayerNorm((768,), eps=1e-05, elementwise_affine=True)
(dropout): Dropout(p=0.1, inplace=False)
)...
우리는 아까 config에서 dropout 값을 0.2로 설정했기 때문에 첫번째 Config로 생성한 모델은 Dropout 값이 기본 모델 값과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모델을 프린트하면 Layer이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input dimension, output dimension 다 자세히 볼 수 있기 때문에 모델을 공부할 때도 도움이 많이 될것이다. 여기에는 일부만 출력해놓았다.
여기서 AutoModel
클래스는 가장 기본적이고 generic한 클라스임으로 encoder 레이어 스택 뒤에 풀링 레이어 하나가 있다. 근데 만약에 우리는 특정 Task에 fine-tuning을 하고 싶다면 그 task에 맞는 모델을 불러와야된다. HuggingFace에서 역시 이렇게 다양한 AutoModel을 제공하고 있다.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ModelForPreTraining, AutoModelForCausalLM, AutoModelForMaskedLM, AutoModelForSeq2SeqLM,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 AutoModelForMultipleChoice, AutoModelForNextSentencePrediction, AutoModelForTokenClassification, AutoModelForQuestionAnswering, AutoModelForTableQuestionAnswering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은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
이 아닐까 싶다. 이 특정 모델을 불러오면 AutoModel
과 달리 encoder layer 스택 위에 Classification Layer이 하나 더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config = AutoConfig.from_pretrained(model_name, **config_args)
model_seq =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from_pretrained(model_name, config=config)
print(model_seq)
>>> ...
(classifier): RobertaClassificationHead(
(dense): Linear(in_features=768, out_features=768, bias=True)
(dropout): Dropout(p=0.2, inplace=False)
(out_proj): Linear(in_features=768, out_features=2, bias=True)
) ...
이렇게 각 task specific AutoModel
은 task에 따라서 마지막 레이어가 바뀌어있을 것이다.
TrainingArgs and Trainer
모델, 토크나이저를 불러오는 방법을 다 알았으면 이제 모델을 학습할 차례이다. 허깅페이스에서 제공하는 Trainer
를 사용하면 정말 정말 너무 쉽게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모델을 처음부터 pre-train하는 과정에는 trainer가 부적절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fine-tuning task에는 사용하기 적합할 것이다.
먼저 아까 모델 config를 설정해준 것 처럼 Trainer
의 argument를 설정해줘야 된다. 여기서 학습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고 이것 저것을 바꿔보며 실험해볼 수 있다.
from transformers import TrainingArguments
training_args = TrainingArguments(
output_dir='./results',
num_train_epochs=1,
per_device_train_batch_size=32,
per_device_eval_batch_size=64,
warmup_steps=500,
weight_decay=0.01,
logging_dir='./logs',
)
print(training_args)
>>> TrainingArguments(output_dir=./results, overwrite_output_dir=False, do_train=False, do_eval=None, do_predict=False, evaluation_strategy=IntervalStrategy.NO, prediction_loss_only=False, per_device_train_batch_size=32, per_device_eval_batch_size=64, gradient_accumulation_steps=1, eval_accumulation_steps=None, learning_rate=5e-05, weight_decay=0.01, adam_beta1=0.9, adam_beta2=0.999, adam_epsilon=1e-08, max_grad_norm=1.0, num_train_epochs=1, max_steps=-1, lr_scheduler_type=SchedulerType.LINEAR, warmup_ratio=0.0, warmup_steps=500, logging_dir=./logs, logging_strategy=IntervalStrategy.STEPS, logging_first_step=False, logging_steps=500, save_strategy=IntervalStrategy.STEPS, save_steps=500, save_total_limit=None, no_cuda=False, seed=42, fp16=False, fp16_opt_level=O1, fp16_backend=auto, fp16_full_eval=False, local_rank=-1, tpu_num_cores=None, tpu_metrics_debug=False, debug=False, dataloader_drop_last=False, eval_steps=500, dataloader_num_workers=0, past_index=-1, run_name=./results, disable_tqdm=False, remove_unused_columns=True, label_names=None, load_best_model_at_end=False, metric_for_best_model=None, greater_is_better=None, ignore_data_skip=False, sharded_ddp=[], deepspeed=None, label_smoothing_factor=0.0, adafactor=False, group_by_length=False, report_to=['tensorboard'], ddp_find_unused_parameters=None, dataloader_pin_memory=True, skip_memory_metrics=False, _n_gpu=1)
여기서도 한 번 출력을 해보면 바꿀 수 있는 파라미터를 쭉 볼 수 있다. 뭐가 많지만 사실 자주 바꾸는 건 내가 위에 설정해놓은 것들.
이렇게 설정을 다 했으면 Trainer
를 생성하면 된다:
from transformers import Trainer
trainer = Trainer(
model=model_sequence,
args=training_args,
compute_metrics=compute_metrics,
train_dataset=train_data,
eval_dataset=test_data
)
여기서 compute_metrics
는 task를 evaluate하고 싶은 기준을 함수로 써주면 된다. 기본 classification task 같은 경우에는 accuracy, f1 score, precision, recall로 주로 평가가 된다. 그러므로 compute_metrics
함수는 모델에서 pred
벡터를 받아서 우리가 원하는 eval 방법으로 모델을 평가하는 것.
허깅페이스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compute_metrics
함수는 아래와 같다 (기본 classification task 사용에는 문제 없음):
def compute_metrics(pred):
labels = pred.label_ids
preds = pred.predictions.argmax(-1)
precision, recall, f1, _ = precision_recall_fscore_support(labels, preds, average='binary')
acc = accuracy_score(labels, preds)
return {
'accuracy': acc,
'f1': f1,
'precision': precision,
'recall': recall
}
그럼 이제 trainer
이라는 python object가 생겼는데, 학습하고 모델 평가는 어떻게 하는가?
# 모델 학습
trainer.train()
# 모델 평가
trainer.evaluate()
.train()
메소드는 아까 trainer
에 넣어준 train_dataset
를 사용해서 모델 학습을 진행하고 .evaluate()
메소드는 같은 trainer
의 eval_dataset
를 사용해서 모델을 평가한다. 너무 간단해서 설명하기도 민망한 정도…
Other
Trainer
를 사용해서 학습하면 굉장히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델 학습에 대한 분석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만약 모델에 대한 분석을 더 섬세하기 하고 싶다면 설정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1. Attention
Transformer모델의 핵심인 attention. 만약 모델의 attention이 각 레이어에 어디를 보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 모델을 불러올 때 output_attentions=True
로 설정해주면 된다:
model =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from_pretrained(model_path_or_name, output_attentions=True)
그럼 ouput에 attention도 함께 출력된다.
# 문장
sentence = "이 영화는 아주 재미있다."
# 문장을 vector로 변환
inputs = tokenizer.encode_plus(sentence, return_tensors='pt', add_special_tokens=True)
input_ids = inputs['input_ids'].to(model.device)
# vector을 모델에 넣어주고, attention만 가져오기
attention = model(input_ids)[-1]
attention을 출력했으면 다른 모듈을 사용해서 attention을 시각적으로 볼 수도 있다:
from bertviz import head_view
tokens = tokenizer.convert_ids_to_tokens(input_ids[0])
head_view(attention, tokens)
이런 그래픽이 나온다:
2. Predict
그 외에도 모델이 어떤 sequence를 잘못 예측했는지 분석하고 싶다면 .predict()
함수를 사용해서 모델의 preds를 직접 저장할 수 있다.
#Get Predictions as Array
preds = trainer.predict(test_data)
#Argmax Softmax Values
predictions = np.argmax(preds[0], axis=1)
labels = preds[1]
print(predictions)
>>>[1 1 0 ... 1 0 0]
print(labels)
>>>[1 0 0 ... 0 0 0]
이렇게 label, prediction이랑 데이터가 있으면 False Positive, False Negative 예시를 뽑아서 분석해볼 수 있다.
Fine-Tuning XLM-R on NSMC
HuggingFace를 사용해서 아주 쉽게 NSMC task를 fine-tuning 해보자!
from transformers import AutoConfig, AutoTokenizer,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
from transformers import TrainingArguments, Trainer
from sklearn.metrics import accuracy_score, precision_recall_fscore_support
from datasets import load_dataset
import torch
# Model, Tokenizer
model_path_or_name = 'xlm-roberta-base'
config = AutoConfig.from_pretrained(model_path_or_name, num_labels=2)
model = AutoModelForSequenceClassification.from_pretrained(model_path_or_name)
tokenizer = AutoTokenizer.from_pretrained(model_path_or_name, config=config)
# Dataset
dataset = load_dataset('nsmc')
class nsmc_data(torch.utils.data.Dataset):
def __init__(self, dataset, tokenizer):
super().__init__()
self.label = torch.tensor(dataset['label']).long()
features = tokenizer([str(x) for x in dataset['document']], padding=True, truncation=True)
self.input = torch.tensor(features['input_ids'])
self.mask = torch.tensor(features['attention_mask'])
def __len__(self):
return len(self.input)
def __getitem__(self, index):
return {'input_ids': self.input[index], 'attention_mask': self.mask[index], 'label':self.label[index]}
train_data = nsmc_data(dataset['train'], tokenizer)
test_data = nsmc_data(dataset['test'], tokenizer)
# Evaluate Function
def compute_metrics(pred):
labels = pred.label_ids
preds = pred.predictions.argmax(-1)
precision, recall, f1, _ = precision_recall_fscore_support(labels, preds, average='binary')
acc = accuracy_score(labels, preds)
return {
'accuracy': acc,
'f1': f1,
'precision': precision,
'recall': recall
}
# Trainer
training_args = TrainingArguments(
output_dir='./results',
num_train_epochs=1,
per_device_train_batch_size=32,
per_device_eval_batch_size=64,
warmup_steps=500,
weight_decay=0.01,
logging_dir='./logs',
)
trainer = Trainer(
model=model,
args=training_args,
compute_metrics=compute_metrics,
train_dataset=train_data,
eval_dataset=test_data
)
trainer.train()
>>> TrainOutput(global_step=4688, training_loss=0.34629279680219527, metrics={'train_runtime': 1437.0598, 'train_samples_per_second': 3.262, 'total_flos': 3.55341747708e+16, 'epoch': 1.0, 'init_mem_cpu_alloc_delta': 312794, 'init_mem_gpu_alloc_delta': 1112255488, 'init_mem_cpu_peaked_delta': 18306, 'init_mem_gpu_peaked_delta': 0, 'train_mem_cpu_alloc_delta': 832234, 'train_mem_gpu_alloc_delta': 3371369984, 'train_mem_cpu_peaked_delta': 10867081, 'train_mem_gpu_peaked_delta': 4122065920})
trainer.evaluate()
>>> {'eval_loss': 0.27084341645240784,
'eval_accuracy': 0.88918,
'eval_f1': 0.8901924258338123,
'eval_precision': 0.8881683011705157,
'eval_recall': 0.8922257974814285,
'eval_runtime': 115.0763,
'eval_samples_per_second': 434.494,
'epoch': 1.0,
'eval_mem_cpu_alloc_delta': 915530,
'eval_mem_gpu_alloc_delta': 0,
'eval_mem_cpu_peaked_delta': 2712591,
'eval_mem_gpu_peaked_delta': 278054400}
GPU 하나로 epoch 1 돌렸을 때 xlm-r 모델은 f1 스코어 89% 정도 나온다. 학습양에 비해 굉장히 양호한 점수. 실제 학습 시간은 한 20분 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사실 소개한 클래스 4개 외에도 dataset
클래스를 사용하면 좋은데 이건 나도 잘 몰라서 좀 더 연구해볼 예정이다. 이상하게 이 dataset
클래스를 사용하면 OOM 에러가 더 많이 나는 것 같다. 메모리 매니지먼트가 아직 잘 안되는 거 같기도 하고…
어쨋든 오늘은 허깅페이스를 쉽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고 한국어 task 중에서 제일 만만한 nsmc를 허깅페이스 이용해서 학습을 해보았다.
다음에는 허깅페이스 API를 사용해서 어떻게 더 customize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봐서 블로그 포스팅을 해야겠다.